제수 준비

    신위 별로 제수를 준비해야 합니다.

    제수의 종류로는 밥과 국, 숭늉 등이 있고

    제사상에서의 명칭은 메, 갱, 숙주라고 칭합니다.

    밥을 올릴 때 뚜껑을 닫은 후 올리고 국은 쇠고기 뭇국

    숭늉은 냉수 또는 미지근한 물로 합니다.

     

    제사상을 차린 후 확인할 사항은 신위의 수와

    관계없는 음식들에 대해서도 파악해야 합니다.

    맑은 물, 식초, 간장 같은 조미료들은 종지에 대접해야 하며

    찌개는 반드시 홀수로 여러 종류를 준비해 제사상에 올립니다.

     

    떡은 시루떡을 일반적으로 사용하며, 김치의 종류는

    나박김치를 주로 활용합니다.

    나물은 색이 다른 종류로 3가지 정도를 준비하고

    과일을 짝수로 올려놓습니다.

    상차림

    제사상 제1열

    술잔과 밥, 떡국, 송편을 놓고

    정면에서 제사상을 바라봤을 때

    떡국은 우측, 술잔은 좌측에 차려 놓습니다.

    수저, 대접(시접)은 제사 대상이 한분 일 때

    정면 기준 왼쪽에 올리며 제사 대상이 두 분 일 때

    시접을 중간에 올려놓습니다.

    기본적으로 우 반좌 갱이라고 하여 메는 우측, 갱은 좌측에 놓습니다.

     

    제사상 제2열

    육적, 어적, 소적의 순서로 보통 3적을 올립니다.

    적은 생선이나 고기를 꼬챙이에 꿰어 양념하여 구운 음식이며

    전은 식재료에 밀가루로 부친 음식입니다.

     

    기본적으로 어동육서, 두동미서라고 하여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이며

    생선 대가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합니다.

     

    제사상 제3열

    3탕과 5탕이 있습니다.

    3탕으로는 육탕, 어탕, 소탕이 올라가며

    5탕으로 할 시 봉탕, 잡탕이 추가되며

    최근 한 가지의 탕만 올리는 제사상도 있습니다.

     

    제사상 제4열

    좌측 끝에 포를 올리며 우측 끝에 식혜, 수정과 등을 씁니다.

    중간 나물반찬으로 콩나물, 숙주, 무나물 순으로 올리며

    삼색나물이라 불리는 고사리, 도라지, 시금치를 쓰기도 합니다.

     

    김치와 청장, 침채는 그다음 순으로 올려줍니다.

    일반적으로 좌포우혜라 하여

    좌측 끝에 포, 우측 끝에 식혜 등 음료를 올려줍니다.

     

    제사상 제5열

    좌측 순으로 대추, 밤, 감, 배 또는 사과의 순서로 올리며

    제외한 이외의 과일들은 순서에 상관없이 차려주지만

    나무 과일과 넝쿨 과일 순으로 올려주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과일의 끝 줄에 흔히 말하는 쌀과자인 유과 등 과자를

    놓아주며 기본적으로 조율 이사, 홍동백서라 하여

    좌측 순으로 대추, 밤, 배, 감 순으로 놓고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의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홀수와 금지하는 음식

    각 집안 별로 방식이 다르지만

    평균적으로 보아 제사상을 차릴 때

    음식의 수를 맞추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모든 상차림에 음식은 홀수로 올라가 있어야 하며

    꽁치, 자갈치 등 치 자로 끝나는 생선은

    되도록 피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상에 올라가는 음식들은 고춧가루, 마늘 같은

    향신료 개념의 양념을 하지 않고 준비합니다.

     

    이상 어려우면서도 한국의 정서에서

    굉장히 중요하게 여기는 제사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주의하여 상차림 잘 마치시길 바랍니다.

     

     

     

    •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